작품소개
끝이 있다면 그것은 지옥이겠지.
너에겐 내가 첫 번째일 수 없고,
나는 그 첫 번째를 포기할 수 없어
이리도 거머리처럼 달라붙어 집착하는 수밖에.
자신이 원하는 걸 뒤늦게 깨달은 남자, 태욱.
“선택권은 없습니다. 날 좋아한다면서요?”
부하 직원의 고백을 연극의 수단으로 이용할 만큼 태욱에게 사랑은 인생의 우선순위가 아니다.
유신그룹의 핏줄로 태어났으나 아버지가 집안과 절연하면서 남보다 못한 대우를 받으며 자란 그는 오직 목표만 직시한다. 불면과 두통을 죄처럼 끌어안은 채 앞만 보며 달리는 그에게 한 여자가 묻는다. 언제 가장 행복하냐고. 당신이 행복했으면 좋겠다고. 태욱은 그제야 비로소 본인을 들여다본다.
자신이 원하는 걸 처음으로 가지고 싶었던 여자, 서영.
“어차피 연극이었잖아요. 여기서 끝내는 게 맞아요.”
직장 상사 태욱을 마음에 담고 짝사랑한 끝에 퇴사를 결심하고 술의 힘을 빌려 고백한다.
거절할 줄 알았던 그가 제안한 건 계약 연애. 서영은 쇼윈도라도 그의 옆에 있고 싶었다.
그가 그녀로 인해 조금이라도 위로받고 웃길 바랐다. 그 끝이 정해져 있다면 그것 또한 받아들이는 게 서영의 사랑이었다. 깔끔하게 돌아선 이별 이후 그녀는 자신이 얼마나 비겁한 사랑을 했는지 마주하게 된다.
“눈 감지 마.”
태욱이 명령하듯 말했다. 서영은 눈을 떠 그를 바라봤다.
“그래야…… 내가 널 얼마나 그리워했는지 알지.”
그가 벌하듯 읊조렸다.